반응형

서울에 거주 중인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중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이라면 귀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께 반가운 소식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서울시에서 시행 중인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사업은 가사 노동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가정에 방문하여 청소, 설거지, 쓰레기 배출 등의 가사 서비스를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족 돌봄에 공백이 생긴 가구의 경우 우선 지원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더욱 눈여겨볼 만한 사업이라 하겠습니다. 그럼 서울형 가사 서비스 지원대상 지원내용 횟수 우선지원 운영업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서울형 가사 서비스 지원대상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서울 거주 중위소득 150% 이하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 임산부 가구: 임신 시작부터 출산 후 1년까지의 가구
  • 맞벌이 가구: 부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무하는 가구
  • 다자녀 가구: 만 18세 이하의 미성년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

단, 자치구에서 제공하는 임산부 가사돌봄 서비스나 한부모 가사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중복 지원이 제한됩니다.

서울형 가사 서비스 지원내용 및 횟수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은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가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용자의 거주 공간(방, 거실)과 주방, 화장실 청소, 설거지, 쓰레기 배출 등이 서비스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정리정돈, 취사, 아이돌봄, 반려동물 관련 업무, 입주청소, 전문자격이 필요한 서비스는 제외됩니다.

지원 횟수는 가구당 총 10회로, 1회 서비스 시간은 4시간입니다. 서비스 제공 시간은 평일 오전(09:00-13:00), 오후(14:00-18:00), 토요일 오전(09:00~13:00)입니다.

서울형 가사 서비스 우선지원 대상

가족 돌봄에 공백이 발생한 가구에 대해서는 우선적인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본인이나 가족이 장애 또는 질병(암 진단, 중증 질환, 사고 등)으로 인해 가족 돌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우선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관련 내용을 입증할 수 있는 진단서, 의사 소견서, 장애 진단서, 장애인 등록증 사본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가사서비스 운영업체

서울시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권역별로 가사서비스 운영 업체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권역 운영업체 해당 자치구 연락처
도심권 (사)한국가사노동자협회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1566-7390
서북권 ㈜참사랑씨앤이 은평구, 마포구 02-3473-0508
  사회적협동조합 강서나눔돌봄센터 양천구, 강서구 02-2065-1584
서남권 든든피플 주식회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02-845-8797
동북권 사회적협동조합 강북나눔돌봄센터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1660-4766
동남권 ㈜유라이프 서초구, 강남구 02-589-0115~6
  ㈜휴브리스 송파구, 강동구 02-2135-2299

해당 자치구의 운영 업체에 연락하시면 보다 상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요약정리

구분 내용
지원대상 - 서울 거주 중위소득 150% 이하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구 세부 기준 확인 필요
지원내용 - 가정 방문을 통한 청소, 설거지, 쓰레기 배출 등의 가사 서비스 제공 - 정리정돈, 취사, 아이돌봄, 반려동물 관련, 입주청소, 전문자격 요구 서비스는 제외
지원횟수 - 가구당 총 10회 (1회 4시간) - 평일 오전·오후, 토요일 오전 서비스 운영
우선지원 - 가족 돌봄 공백 발생 가구 (장애, 질병 등의 사유) - 구비 서류: 진단서, 의사 소견서, 장애 진단서, 장애인 등록증 사본 등
운영업체 - 권역별 지정 운영 업체를 통한 서비스 제공 - 도심권, 서북권, 서남권, 동북권, 동남권 업체 정보 및 연락처 참고

결론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은 육아와 가사로 인해 이중고를 겪는 가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가족 돌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우선 지원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거주하시는 자치구의 운영 업체에 문의하여 신청 절차 및 구비 서류를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해당 조건에 부합하신다면 주저 말고 신청해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이 글을 통해 서울 시민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